조형의 매체
형태.
형태는 두 가지 측면, 즉 두 가지의 차원을 지닌다. 그 한 가지는 물리 적으로 현존하는 존재의 측면이고, 다른 한 가지는 일련의 형식들에 공통 적인 개념을 구성하는 저변의 심적 측면이다. 조형 및 디자인에 있어서 형태는 형이상학적인 깃과 물리적인 것의 포괄적 결합에 의해서 선과 면, 입제 등의 요소를 취하여 미적 가치나 기능을 추구하는 소형 과정과 그 결과 물로 정의될 수 있다.
조형의 시각적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형태(form)'는 의미를 갖지 않는 순수한 형 사체를 뜻하는 반면, '형상(figure)' 은 문화적 함축의미가 포함된 인식적 성격을 지닌다. 달리 말해 형상은 관습적이고 연상적인 의 미를 내포하는데 반해 형태는 그것을 배제한다. | 콜쿠호운(Alean Colquhoun) 역시 형태와 형상에 대하여 형태는 사회 적인 적절성의 의미가 배제된 기하학적 형태나 추상적인 형태를 의미하 는 반면에 형상은 재현적 의미를 내포한 것으로 보았다. 1) 형태는 조형 전체의 시각적인 외형으로 모든 시각적 요소의 집합으로 인식된다. 구조 는 형태가 조립되는 방식, 즉 여러 개의 형태적 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방 식이다. 이것은 전체 공간의 조직이며 색채, 질감 등의 외피 바로 밑에 존 재하는 골격이다. 조형예술분야에서 기호에 바탕을 둔 조형언이나 시각 언어 중에서 형태는 예술가들에게 있어 보다 구체적인 언어로서 중요한
의미를 가지고 있다. “개념은 형태를 취한다" 라는 아른하임의 명제처럼 형태는 개념을 담고 있다. | 조형적 측면에서 형을 결정하는 요소는 선, 면, 매스, 볼륨으로 확대된 다. 즉 시각구조의 특성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기둥과 보와 같은 선적 요 소, 벽면이나 천장과 같은 면적 요소, 그리고 이들 요소의 조합에 의한 매 스와 볼륨의 요소로 구분된다. 이들 요소의 조합 방식, 위계성, 배열 등에 의한 형태적 특성은 문화적 특수성과 개인적 차별성에 따라 달리 표현되 고 그 의미를 달리 한다.